profile image

L o a d i n g . . .

반응형

자료구조를 왜 배울까?

  • 개발하는 개발자들이 편해진다.
  • 알고리즘이 단순해질 수 있는 방법 → 자료구조를 배운다.
  • 여러 명의 개발자가 붙어서 시스템 구축 등... 특히 PM들은 이러한 자료구조를 잘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 예를 들어 배열에서 열 먼저 로딩한다든지... 열 먼저, 행 먼저 ⇒ 이런 부분에서 성능 차이가 날 수 있다.
  • 똑같은 프로그램이어도 실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는?

  • 자료구조가 개판이면 알고리즘을 잘 만들어 놔도 코드가 더러워질 수 있다.
  • 모두 다 프로그램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잘 고민해서 전체 프로그램, 시스템, 패키지를 개발해야 한다.
  • 프로그램 설계 시 훨씬 효율적이고, 비전공자들과의 차이점을 만들 수 있다.

 

자료구조의 공부 방법?

  • 교재에 그림이 제일 많다. 우선은 그림만 이해. (시험은 못 봄)
  • 그림 보고, 밑에 설명 보면서 코드를 본다. 쉽지 않은 과목.
  • 추상화된 내용을 이해하고, 실제 교재에 있는 내용을 이해하며 프로그래밍적으로도 이해하면 된다.
  • 코드 작성 후 실행해 보자.
  • 최신 강의는 개념 위주, 예전 강의는 완전 꼼꼼하게 코드까지 설명.

 

 

해당 포스트는 방송통신대학교의 '자료구조' 강의를 들으며 개인 공부 목적으로 메모하였습니다.

반응형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