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age

L o a d i n g . . .

반응형

자기 자신을 알자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

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도 실력임, 내가 원하는 100%의 환경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매우 적음 => 뭐 때문에 능력치를 못 뽑아내는가?

다양한 것을 만들어 보기, 타인의 요구(협업?)에 맞게

 

장르적인 재미를 먼저 추구

액션 게임 => 적을 때리니 재미있음
플랫포머 => 돌아다니는 게 재미있음
슈팅 => 적을 맞추니 재미있음

시스템 늘어남 > 개발 기간 늘어남 > 계속 노잼 > 불만족 & 미완성

장르 베이스 + 새로운 요소

 

팀원을 구하려면 증명부터

능력, 경력

플레이 가능한 게임

 

테스트 게임? 처음부터 제대로

작은 메커니즘부터 살을 붙여서

 

다듬기보다는 컨텐츠 제작

완벽한 것은 존재하지 않음 => '자기만족'이 아닐지?

빠른 컨텐츠화

허접하더라도 실제 게임에서 움직이는 것!

 

팀워크보다는 프로젝트

팀워크를 위한 배려들이 팀워크를 망침

게임이 괜찮으면 팀도 사이좋아짐(ㅋㅋㅋㅋ

프로젝트와 나를 분리해야 건전한 피드백 가능!

 

행사를 빌드 마감일로

보여 주기용으로 계획에서 벗어나면 안 됨!!

 

책임자를 둔다

결정권자는 적을수록 좋음, 결정이 애매하고 느려질수록 악영향

기획자 ≠ 디렉터, 개발적으로 신뢰받는 사람

 

과정보다는 결과

과정 < 결과!!

결과를 잘 내기 위한 편법은 업계의 노하우일 때가 많음

 

개발 과정을 즐기자(축하하자)

프로젝트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기

다같이 빌드 테스트, 자뻑이 필요함!

 

왜 완성을 해야 하나

"많은 걸 배웠어" => 게임을 완성해야 레벨업이 가능!!

게이머를 이해시키기 위한 작업은 후반에

최소한의 친절함, 제대로 구현된 게임 의도, 정말로 재미있는지 확인, 출시 후 문제점을 수정(빡세다!!), 게이머들과의 소통 방식 습득

타인에게 플레이시킬 것(출시)을 전제로 만들어진 게임은 만듦새가 다름

"사람", "매력"

매력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의지!

 

 

완전 뜬금없지만 트위치에서 방송하는 개발자분들도 계시는 걸 처음 알았다... 그치만 인터넷 방송에 취미 들리면 큰일날 걸 알기 때문에 가끔씩 둘러보면서 자극받아야겠다 😊

아무튼 한 시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알찬 특강 잘 들었습니다! 아직 게임 개발할 레벨은 못되지만 이런 얘기를 살면서 어디서 들어볼지... 😥 정말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들어서 당황스러울 지경임 ㅋㅋㅋㅋㅋ 벌써 열 시라니...!

 

 

해당 포스트는 한군님의 온라인 특강을 들으며 개인 백업용으로 메모하였습니다.

한군님의 트위치: https://www.twitch.tv/hanguny

 

한군이 - Twitch

온라인 특강 / 왜? 내 게임은 완성되지 않을까?

www.twitch.tv

 

반응형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