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론 - 2.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및 동작원리
2021. 10. 4. 17:02
방송대/프로그래밍 언어론
학습개요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과정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란?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 프로그래밍 언어를 현명하게 선택하는 방법 학습목표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프로그래밍 언어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주요 언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프로그래밍 언어의 평가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평가 기준 중 서로 상충되는 평가 기준을 살펴보고 기타 프로그래밍 언어의 다양한 특성..
프로그래밍 언어론 - 1. 프로그래밍 언어 소개
2021. 10. 3. 15:44
방송대/프로그래밍 언어론
학습개요 프로그래밍 언어가 무엇인지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프로그래밍 언어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프로그래밍 언어는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 프로그래밍 언어론은 왜 배워야 하는지 학습목표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의를 이해하고 자연어와 대비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을 이해하며, 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을 제공하고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감각을 체득한다.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프로그래밍 언어의 학습 방법을 체득한다. 학습내용 프로그래밍 언어란 무엇인가? 프로그래밍 언어 정의 언어란 무엇인가? 의사 전..
자료구조 - 0. 오리엔테이션
2021. 9. 21. 09:34
방송대/자료구조
자료구조를 왜 배울까? 개발하는 개발자들이 편해진다. 알고리즘이 단순해질 수 있는 방법 → 자료구조를 배운다. 여러 명의 개발자가 붙어서 시스템 구축 등... 특히 PM들은 이러한 자료구조를 잘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배열에서 열 먼저 로딩한다든지... 열 먼저, 행 먼저 ⇒ 이런 부분에서 성능 차이가 날 수 있다. 똑같은 프로그램이어도 실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는? 자료구조가 개판이면 알고리즘을 잘 만들어 놔도 코드가 더러워질 수 있다. 모두 다 프로그램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잘 고민해서 전체 프로그램, 시스템, 패키지를 개발해야 한다. 프로그램 설계 시 훨씬 효율적이고, 비전공자들과의 차이점을 만들 수 있다. 자료구조의 공부 방법? 교재에 그림이..
선형대수 - 1. 일차연립방정식
2021. 9. 20. 19:07
방송대/선형대수
학습개요 일차연립방정식에 관하여 학습한다. 기본적인 일차방정식의 풀이 방법을 공부한다. 유일한 해를 갖는 경우, 무수히 많은 해를 갖는 경우(부정), 해를 갖지 못하는 경우(불능) 등 세 가지 경우가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n원 일차연립방정식이 무엇인지 배우고, 이것을 풀기 위해 사용되는 소거법에 관해 학습한다. 소거법은 '방정식에 관한 3가지 기본 연산'을 이용한다. 2원 일차연립방정식을 예로 들어, 유일한 해를 갖는 경우, 불능의 경우, 부정인 경우 각각에 대해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의미를 확인한다. 일차연립방정식의 활용 예제를 배운다. 학습목표 간단한 일차방정식 $ax = b$가 어떤 경우에 유일한 해를 갖는지, 불능이 되는지, 부정이 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일차연립방정식에서 사용되는 기..
선형대수 - 0. 오리엔테이션
2021. 9. 15. 22:41
방송대/선형대수
동기 인공지능, 머신러닝 4차 산업혁명 ⇒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머신러닝에서 선형대수는? 뉴런과 뉴런 사이에서 많은 정보를 받는다. 가중치가 존재. $W_0X_0, W_1X_1, W_2X_2...$ 이걸 다 더한다고 하면? 시그마(파란색 동그라미)로 표현된다. 이걸 어떠한 함수에 의해서 값을 주면 output이 된다. 이런 일차방정식에 관한 값이 들어오는구나~ 정도 이해한다. Andrew Ng이라는 사람의 유튜브 강의를 보면 머신 러닝이 어떤 것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Regression (회귀) $h(x)$ : $x$라는 값을 넣으면, 대략 어떠한 값이 나올 것이다. 이 $h(x)$는 결국 일차방정식 형태로 나오게 되며, 선형대수는 일차방정식의 해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생각의..
대학수학의 이해 - 1. 수학의 기초 (1)
2021. 9. 14. 21:27
방송대/대학수학의 이해
학습개요 수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학문이며, 당면한 현실 문제를 추상화 또는 일반화하여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수학은 무엇이며 왜 수학을 배우는지를 정리하고, 수학논리와 수의 체계 등 대학수학의 기초가 되는 내용을 살펴본다. 수의 체계에서는 실수 중심으로 여러 가지 성질을 살펴본다. 학습목표 수학의 정의를 이해할 수 있다. 수학의 기초 논리를 이해할 수 있다. 수의 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 정리하기 수학은 현실 문제를 추상화 또는 일반화하여 그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학문이다. 수학의 명제는 연역법, 귀류법,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한다. 실수는 유리수와 무리수로 구성되어 있다. 두 실수가 있다면 대소의 순서가 있고, 덧셈과 곱셈에 대해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3학년 편입!
2021. 9. 13. 00:32
방송대
서론 이번 하반기부터 방송통신대 3학년으로 편입하게 되었다! 업계 특성도 있고, 나도 막 학사 욕심이 나는 건 아닌데... 어차피 혼자 계속 공부해야 하는 분야에서 어느 정도 커리큘럼을 따라 가면서 시험도 보고, 졸업장까지 따면 더욱 좋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녔던 대학교에 불만이 있기도 하다. 학벌적인 불만은 아니고, 공부할수록 '이런 기본적인 걸 학교 다닐 때 안 알려 줬다고?' 싶은 게 한두 개가 아니다. 그 당시에는 잘 몰랐지만... 누구보다 최신 기술에 민감해야 할 분야에서 2010년대 초 자료로 수업을 진행하던 몇몇 교수님들을 잊지 못한다. 😅 결과적으로는 다시금 이론적인 공부를 해 보고 싶어서 방송대 편입을 결정하게 되었다. 대학교의 수학 수업을 들어 보고 싶은 게 가장 크게 작..